국내 무료백신 순위와 국산 백신의 장점

인터넷 산업의 발전으로 점점 편리해지고 있는 생활 환경이지만 반대로 바이러스나 악성프로그램 또는 해커들의 공격 또한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얼마전 발생한 디도스 공격이나 금융권 해킹 사건 등 기업조차 맥없이 당하는 시점에 개인은 더욱 백신 소프트웨어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기도 하죠. 다만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국산 무료백신의 경우 세계적인 백신 평가 사이트들로부터 좋은 평을 받지 못하지만 발빠른 대응력과 맞춤형 서비스로 오히려 외국 백신보다 우수하다고 합니다. 국내 무료백신 순위와 국산 백신의 장점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국산 백신사 안랩 성능 실험결과 비교-vb100)



국내 무료백신 순위와 시장 동향


국내에서 많이 이용되는 무료백신은 역시 안랩의 V3와 알약을 들 수 있습니다. 정확한 시장점유율은 조사해 놓은 자료가 없어 점유율은 알아보기 어렵지만 V3가 50% 이상 점유율을 기록했었고 여기에 알약가지 합치면 6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보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2014년 들어 잉카 인터넷(nprotect)과 SGA(바이러스체이서) 등 국산 보안업체를 필두로 외국계 유명 백신 회사들이 국내 지사 설립을 계획하거나 진출하고 있어 향후 국내 백신 순위의 변화가 예상됩니다.


유명 외국 백신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한국에 진출하는 이유는 근래 몇 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사고 때문으로 인터넷망이 잘 발달된 한국시장에서 성공할 경우 세계적으로도 통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안랩과 세계 유명 백신 성능비교표-2014년 9월 기준>



국내 무료백신의 장점


국산 무료백신이 좋을까? 외국 유명백신이 좋을까? 여기에 대한 답은 이용자들의 선택에 달렸지만 지금까지는 국산 백신이 발빠른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점과 여기에 컴퓨터 최적화 기능까지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편의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 국산 무료백신의 장점입니다. 특히 해커들의 주요 표적이 되기 쉬운 우리나라 여건상 우리나라를 가장 잘 알고 대비할 수 있다는 점이 이용자들의 마음을 움직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전세계적으로 창궐하는 악성코드나 바이러스에는 비교적 약한 단점이 있어 외국 사이트 접속이 빈번한 이용자에게는 국산 백신보다는 유명 외국계 백신이 적합하다는 전문가들의 말입니다.



<안랩과 세계 유명 백신 성능 비교표-2014년 9월 기준>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