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이야기 하르방 2015. 4. 9. 02:10
우리나라 노후대책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열악한 환경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속에서 주택은 마지막 노후 생활 보장 수단으로 떠올라 정부에서는 주택을 대상으로 연금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주택연금제도는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려쓰고 가입자가 사망 후 담보주택 매각 등의 방법으로 상환하게 되며 주택금융공사의보증으로 시중 6개은행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여기서는 주택연금 가입시 내집 시세 대비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하는 방법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주택연금 가입요건 주택연금 가입자는 명의자 기준으로 만 60세이상이어야 하며 공동명의자는 연장자 기준으로 만 60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기준시가는 한국감정원이나 KB시세를 적용하게 되며, 일시적으로 2주택 이상인 사람은 3년내 1주택을 처분하는 조건으로 가입이 ..
재테크이야기 하르방 2014. 11. 13. 18:02
공식 은퇴연령 60세, 유효 은퇴연령 72.3세(202년 기준)...우리나라 고령인구가 OECD 가입국 가운데 가장 오래 일하는 국가로 노후대비가 절재 부족한 국가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초고령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노후생활비 부족으로 65세 이상 자살률 또한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회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퇴직금과 개인연금이 준비되어야 노후를 보낼 수 있지만 그마저도 부족한 경우 일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나마 자가주택 소유자라면 주택금융공사의 역모기지론인 주택연금을 활용할 수 있는데요 주택연금 가입조건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봅니다. (주택금융공사-바로가기) 주택연금 가입조건 주택연금이란 집을 가지고 있지만 소득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 남은 평생 또는 일정한 기간동안 안정적인 ..